39장 앞면
본문시작
- 표지 앞면
- 표지 뒷면
- 간지 앞면
- 간지 뒷면
- 장2 앞면
- 장2 뒷면
- 장3 앞면
- 장3 뒷면
- 장4 앞면
- 장4 뒷면
- 장5 앞면
- 장5 뒷면
- 장6 앞면
- 장6 뒷면
- 장7 앞면
- 장7 뒷면
- 장8 앞면
- 장8 뒷면
- 장9 앞면
- 장9 뒷면
- 장10 앞면
- 장10 뒷면
- 장11 앞면
- 장11 뒷면
- 장12 앞면
- 장12 뒷면
- 장13 앞면
- 장13 뒷면
- 장14 앞면
- 장14 뒷면
- 장15 앞면
- 장15 뒷면
- 장16 앞면
- 장16 뒷면
- 장17 앞면
- 장17 뒷면
- 장18 앞면
- 장18 뒷면
- 장19 앞면
- 장19 뒷면
- 장20 앞면
- 장20 뒷면
- 장21 앞면
- 장21 뒷면
- 장22 앞면
- 장22 뒷면
- 장23 앞면
- 장23 뒷면
- 장24 앞면
- 장24 뒷면
- 장25 앞면
- 장25 뒷면
- 장26 앞면
- 장26 뒷면
- 장27 앞면
- 장27 뒷면
- 장28 앞면
- 장28 뒷면
- 장29 앞면
- 장29 뒷면
- 장30 앞면
- 장30 뒷면
- 장31 앞면
- 장31 뒷면
- 장32 앞면
- 장32 뒷면
- 장33 앞면
- 장33 뒷면
- 장34 앞면
- 장34 뒷면
- 장35 앞면
- 장35 뒷면
- 장36 앞면
- 장36 뒷면
- 장37 앞면
- 장37 뒷면
- 장38 앞면
- 장38 뒷면
- 장39 앞면
- 장39 뒷면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1
『직지』는 본문의 첫 장이 떨어져 나가고
없는 하권만 전해지고 있다. 책 표지에
직접 쓴 제목은 ‘직지’인 반면, 마지막
장에서는 권말제호 ‘백운화상초록불조
직지심체요절 권하’란 서로 다른 제목을
쓰고 있다.
제목을 풀어쓰면 ‘백운 경한스님이 불교의 선을 깨닫는 데 도움이 되는 역대 부처, 승려들의 말씀을 편찬한 글 모음집이라는 뜻이다.
백운경한 화상1298년 전라북도 정읍에서 출생.
출가 후 전국의 사찰을 돌아다니며 수행하고, 1351년 50세에 원元나라 지공指空화상 에게 법을 묻고, 석옥화상의 법을 이었다. 1365년 나옹혜근 儺翁惠勤선사의 천거로 해주 신광사의 주지가 되었으며, 1370년에는 공부선의 시관으로 불교계를 이끌었다. 1372년에 부처님과 역대조사 스님들의 말씀을 가려 『직지』상하 2권을 편찬하였으며, 어록(상하 2권)이 전한다. 77세 여주 취암사에서 입적하였다. - 2 출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간기부분으로 1377년宣光七年 청주 흥덕사淸州牧外興德寺에서 인쇄된 금속활자본鑄字印施임을 확인할 수 있다.
- 3 청주는 940년(태조 23)에 청주로 이름 붙여졌고 983년(성종 2)에 처음으로 12목을 설치했을 때 청주가 그 가운데 하나로 선정되었다. 그 후 1018년(현종 9) 8목으로 정리되었을 때도 청주목 淸州牧은 충청권역의 행정 중심지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 4
-
5
- 6 ‘指’이 누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