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장 앞면
본문시작
- 표지 앞면
- 표지 뒷면
- 간지 앞면
- 간지 뒷면
- 장2 앞면
- 장2 뒷면
- 장3 앞면
- 장3 뒷면
- 장4 앞면
- 장4 뒷면
- 장5 앞면
- 장5 뒷면
- 장6 앞면
- 장6 뒷면
- 장7 앞면
- 장7 뒷면
- 장8 앞면
- 장8 뒷면
- 장9 앞면
- 장9 뒷면
- 장10 앞면
- 장10 뒷면
- 장11 앞면
- 장11 뒷면
- 장12 앞면
- 장12 뒷면
- 장13 앞면
- 장13 뒷면
- 장14 앞면
- 장14 뒷면
- 장15 앞면
- 장15 뒷면
- 장16 앞면
- 장16 뒷면
- 장17 앞면
- 장17 뒷면
- 장18 앞면
- 장18 뒷면
- 장19 앞면
- 장19 뒷면
- 장20 앞면
- 장20 뒷면
- 장21 앞면
- 장21 뒷면
- 장22 앞면
- 장22 뒷면
- 장23 앞면
- 장23 뒷면
- 장24 앞면
- 장24 뒷면
- 장25 앞면
- 장25 뒷면
- 장26 앞면
- 장26 뒷면
- 장27 앞면
- 장27 뒷면
- 장28 앞면
- 장28 뒷면
- 장29 앞면
- 장29 뒷면
- 장30 앞면
- 장30 뒷면
- 장31 앞면
- 장31 뒷면
- 장32 앞면
- 장32 뒷면
- 장33 앞면
- 장33 뒷면
- 장34 앞면
- 장34 뒷면
- 장35 앞면
- 장35 뒷면
- 장36 앞면
- 장36 뒷면
- 장37 앞면
- 장37 뒷면
- 장38 앞면
- 장38 뒷면
- 장39 앞면
- 장39 뒷면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1
몽산덕이蒙山德異-1231~1308 화상은 중국 강서성江西省
서양瑞陽에서 태어났다. 남송南宋과 원대元代에 걸쳐
활약한 임제종 계통의 고승으로 환산晥山 선사의 법을
이었으며, 고균비구古筠比丘ㆍ전산화상殿山和尙ㆍ휴휴암주
休休庵主라고도 부른다.
〈휴휴암좌선문〉은 그가 평강 平江에서 휴휴암을 지은 글이다. 이 글을 지어 선풍을 크게 떨쳤다고 한다.《몽산화상수심결》ㆍ《몽산화상법어》 등의 저서가 있다.
당시 우리나라 고승들과도 문필 거래가 많았으며, 특히 간화선看話禪으로 고려 불교계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오늘날까지 간화선에서는 선사의 법어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