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덕사지의 발견

부처와 조사(祖師)의 설법 중 중요한 구절만을 수록한 『직지』는 책의 마지막 장에 옛 책들이 그러하듯, 간행한 일시, 장소 등 간기를 기록해 두었다. “선광 7년 정사 7월 일에 청주목 밖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책을 찍다.”(宣光七年丁巳七月日 淸州牧外興德寺鑄字印施) 이 짧은 한 줄 덕분에 『직지』가 1377년(고려 우왕 3년)에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로 인쇄한 책임을 알 수 있다.

직지 권말에 적힌 간기

『직지』 권말에 적힌 간기

그렇다면, 최초의 금속활자본을 간행한 ‘청주목 밖 흥덕사’는 어떤 사찰이었을까? 흥덕사지가 발굴되기 전까지 연구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문헌기록에서 흥덕사에 관한 내용을 찾을 수 없었다. 그 정확한 위치와 규모, 내력 등 흥덕사에 관한 모든 궁금증은 오랜 시간 동안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다. 1972년, 『직지』가 일반에 처음 공개된 이후 약 13년이 지나서야 흥덕사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었는데, ‘택지개발공사’라는 뜻밖의 사건이 계기가 되었다.

1984년 12월에 한국토지공사가 운천동 일대에 택지개발사업을 시작하면서 청주대학교 박물관에서 이 지역의 발굴조사를 맡아 진행하였다. 사실 운천동은 일찍이 옛 사찰이 있던 곳으로 짐작되었는데, 1970년에 통일신라시대의 <청동 종>(보물 제1167호) 등의 불교공예품이, 1982년에는 <운천동 신라사적비>가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동안 제대로 발굴 조사한 적은 없어 1984년의 운천동 발굴은 큰 기대를 안고 시작하였다. 그 결과 금당, 탑, 중문지가 남북으로 배치된 사찰을 확인하여 현재까지 ‘운천동사지’라고 부른다.

청주대학교 발굴단은 주변 지역도 조사하였는데, 운천동에서 서남쪽으로 그리 멀지 않은 곳에서 건물의 초석과 고려시대의 치미 편, 기와 편 등을 찾아냈다. 즉, 발굴단은 운천동사지 외에도 현재의 고인쇄박물관 인근에 또 다른 사찰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발굴 당시에는 사찰명을 알 수 없어 옛 지명을 따 ‘연당리사지’라고 이름하고, 1985년 3월에 긴급 발굴을 진행하여 각종 금속 불교공예품과 기와 편, 청자 등을 수습하였다.

아래 내용 참고
흥덕사 터의 발굴 조사 모습

흥덕사 터의 발굴 조사 모습(사진 : 청주대학교 박물관 제공)

발굴이 거의 끝나갈 무렵인 10월에 절의 동쪽 구역에서 ‘흥덕사(興德寺)’가 새겨진 금고(金鼓)의 일부를 발견하였다. 금고는 불교 의식에 사용하는 범음구로, 당시 금고의 몸체는 없이 옆면 일부만 깨진 채 발견되었다. 이 금고 편에는 ‘서원부 흥덕사(西原府 興德寺)’라고 음각선으로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 이 이름 모를 절터가 바로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인 『직지』를 인쇄한 흥덕사 터임을 확인하는 순간이었다. 더군다나 흥덕사 터는 예로부터 청주의 중심지였던 청주읍성으로부터 북서쪽으로 2㎞ 가량 떨어져 있어 『직지』의 끝에 적힌 “청주목 밖 흥덕사”라는 기록과도 완벽하게 일치한다.

깨어진 흥덕사명 금고 편이 발견되자 이듬해 5월에 흥덕사지는 사적 제315호로 정식 지정되었다. 하지만 문제는 이 흥덕사 터에서 이미 외부로 반출된 흙이었다. 발굴단은 이 흙으로 조성된 택지 일대도 금속탐지기로 조사하여 ‘황통 10년 흥덕사명 청동 발우’, 즉 1150년에 제작한 흥덕사명 발우를 추가로 수습하여 이 지역이 고려시대 흥덕사 터임을 재확인하면서 문헌 기록에도 없었던 『직지』를 간행한 흥덕사를 찾게 되었다.

만약 드라마와도 같은 흥덕사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직지』의 가치가 지금과 같았을까? 서양의 구텐베르크의 인쇄술보다 63년이나 앞서 인쇄되었지만, 간행한 일시, 간행한 장소, 간행지의 정확한 위치, 이 모든 사실들이 뒷받침되지 않았다면 『직지』는 지금과 같은 평가를 유지하기 어려웠을지도 모른다. 따라서 현재 세계 최고의 금속 활자본으로 『직지』의 가치를 공고히 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1985년의 흥덕사 발굴이 큰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옛 문헌에 기록되지 않아 알 수 없었던 흥덕사를 출토품에 새겨진 명문(銘文)을 통해 그 위치를 찾아냄으로써 발굴과 명문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도 기념비적인 발굴이라 평가할 수 있다.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